home
키즈노트 안내
home
💯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제 대비 “관찰기록”

태그
전자문서+
평가제
관찰기록
개정된 메뉴얼에 맞춰 어떻게 평가제를 준비할 지 막막하신가요? 키즈노트 ‘전자문서+ 관찰기록’과 함께 개정 평가제 완벽 대비해요!!!

영유아 중심 · 놀이 중심 보육의 시작, 관찰기록!

개정된 어린이집 평가제에서는 영유아 중심·놀이 중심 보육의 실천 과정이 핵심입니다. 그 시작은 바로 관찰기록에서 출발합니다. 관찰기록은 아이들의 성장과 배움을 담아내는 출발점이자, 평가제 준비의 기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관찰기록, 왜 중요할까요?

관찰기록은 아이들의 놀이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성장의 순간들을 담아내며, 아이들의 경험과 배움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에 몰입하는 모습 등 특별한 순간들을 기록함으로써 아이들의 성장 과정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됩니다.

개정 평가제에서 관찰기록의 의미

성장과 변화의 기록
아이들의 발달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됩니다.
놀이 중심 보육과정의 운영 근거
놀이 흐름과 아이들의 흥미를 바탕으로 보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포트폴리오 자료
면담 및 평가 시 활용 가능한 핵심 기록으로, 아이들의 성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
즉, 관찰기록은 보육과정 운영과 평가 준비의 핵심입니다!

관찰기록,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놀이 관찰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이에 몰입하며 보여주는 행동, 상호작용, 관심사를 기록해요.
어떤 놀이에 흥미를 느끼고 참여하는지, 친구들과의 협력이나 대화 속에서 어떤 성장이 나타나는지 기록
[관찰기록 예시]
놀이 시간에 지수는 플레이콘을 손으로 쥐고 이리저리 돌려 본다. 손끝으로 플레이콘을 만져보며 “말랑말랑해”라고 말한 뒤, 하늘색 플레이콘을 집어 액자 테두리 상단에 붙인다. “하늘이에요!”라고 말하며 플레이콘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손끝으로 누른다. 이어서 하얀색 플레이콘을 골라 동그랗게 모은다. 교사가 “지수야, 무얼 만들고 있니?”라고 묻자, “구름이에요!”라고 대답하며 하얀 플레이콘을 손으로 누른다. 옆에 앉은 친구에게 “이거 멋지지?”라고 말한 뒤, 친구의 작품을 보며 “이것도 멋져!”라고 말한다.

일상생활 관찰

기본생활습관, 식사, 수면 등 일상에서의 작은 변화도 중요해요.
기본생활습관에서 스스로 해내는 모습, 새로운 시도를 하는 과정 등을 기록
[관찰기록 예시]
점심식사 중 수호는 식판에 비어 있는 반찬 칸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응응" 소리를 낸다. 교사가 "수호야, 반찬 더 줄까?"라고 묻자 고개를 끄덕인다. 교사가 "수호야, '반찬 더 주세요'라고 말해볼 수 있을까?"라고 말하자 잠시 교사를 바라보다 작은 목소리로 "더 주세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반찬을 담아주자, 식판을 내려다보며 반찬을 집어 입으로 가져간다. 이후 반찬을 다 먹고 다시 비어 있는 반찬 칸을 가리키며 "응응" 소리를 내며 교사를 본다. 교사가 "더 주세요라고 말해볼까?"라고 말하자, 교사를 따라 "더 주세요"라고 말한다.

놀이와 배움을 연결하는 관찰기록

관찰기록은 단순히 행동이나 장면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여기에 ‘해석’과 ‘평가’가 더해질 때, 기록은 비로소 생명력을 얻습니다. 아이들이 어떤 놀이에 흥미를 느끼고, 어떻게 배우고 성장하는지 그 맥락과 의미를 담아내야 합니다.
[관찰기록 예시] 관찰내용
시우는 책상 위에 올려진 목도리를 바라본다. 손을 뻗어 목도리를 천천히 만져보던 시우는 교사가 목도리를 위아래로 흔들며 “목도리가 춤을 추고 있네”라고 말하자, 고개를 들어 목도리를 눈으로 따라가며 두 손을 내민다. 목도리를 잡은 시우는 양손으로 꼭 쥐고 살짝 당긴다. 옆에 앉은 친구가 목도리의 반대편 끝을 잡고 당기자, 시우는 손에 힘을 주어 자신의 쪽으로 당긴다. 목도리가 왔다 갔다 움직이는 모습을 바라보며, 목도리를 손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을 몇 번 반복한다.
해석 및 평가
목도리를 활용한 놀이를 통해 촉감을 탐색하며 손의 힘 조절과 조작 능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임. 놀이에 몰입하며 스스로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놀이 경험이 관찰되었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놀이 상호작용도 볼 수 있었음. 앞으로도 다양한 촉감 놀이와 또래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균형 있게 지원할 필요가 있음.

개정 평가 매뉴얼로 보는 관찰기록

영역 4. 보육과정 실행과 평가

4-1. 관찰 및 실행 계획
영유아의 놀이와 활동, 일상생활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영유아의 경험이나 배움을 기록한다.
4-2. 보육과정 평가
관찰 기록 등을 활용하여 연 2회 이상 영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한다.
보육과정 운영 평가와 영유아 평가 결과는 보육과정 운영 개선, 실행 계획 수립, 영유아 이해, 부모면담 등에 활용한다.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 7. 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